art-flow 님의 블로그

문화와 예술이 숨 쉬는 공간. 당신의 하루에 작은 울림을 전하는 [문화 예술] 이야기로 초대합니다.

  • 2025. 3. 14.

    by. art-flow

    목차

      1. 예술과 기술의 만남

      예술과 기술의 만남 최근 들어 예술과 기술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새로운 형태의 인터랙티브 아트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언리얼 엔진(Unreal Engine)'은 게임 개발 도구를 넘어 XR(Extended Reality) 기술의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 잡으며 예술가와 테크니션들의 창의적인 협업을 이끌고 있습니다. XR 기술의 발전으로 이제는 기존의 미디어나 공연 예술 분야에서도 현실과 가상이 결합된 독특한 콘텐츠가 등장하고 있습니다. 관객은 단순히 시청자에서 참여자로 변화하고, 작품과 상호작용하며 경험의 주체로 나아갑니다. 언리얼 엔진은 이러한 '인터랙티브 아트' 경험을 실시간으로 구현할 수 있는 강력한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으며, 아티스트들의 창의적인 상상을 현실로 구체화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실시간 렌더링, 고품질 그래픽 표현력, 강력한 인터페이스와 프로그래밍 유연성으로 인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언리얼 엔진이 어떻게 예술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와 기술적인 배경을 들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합니다.

      XR 메타버스의 경험 (이미지 : 픽사베이. 무료 상업적 이용가능) * 출처 : https://pixabay.com/ko/photos/xr-%EC%94%A8-%ED%98%BC%ED%95%A9-%ED%98%84%EC%8B%A4-7499160/
      XR 메타버스의 경험 (이미지 : 픽사베이. 무료 상업적 이용가능)

                               * 출처 : https://pixabay.com/ko/photos/xr-%EC%94%A8-%ED%98%BC%ED%95%A9-%ED%98%84%EC%8B%A4-7499160/

      2. 언리얼엔진의 역사와 XR 기술의 등장

      언리얼 엔진은 원래 게임 레벨 디자인과 그래픽을 제작하기 위해 개발된 소프트웨어였습니다. 초기에는 주로 게임 업계에서만 활용되었지만, 코로나 팬데믹 시기에 비대면 콘텐츠의 필요성이 급증하면서 가상 스튜디오와 XR 콘텐츠 제작 도구로 크게 확장되었습니다. 특히 디즈니의 영화 <만달로리안>은 언리얼 엔진과 LED 볼륨 스크린을 이용해 현장에서 실시간 배경을 구현하는 혁신을 선보였으며, 이는 전통적인 촬영 방식을 넘어선 XR 촬영 기법의 표본이 되었습니다.

      또한, 유명 EDM 전문 음악 페스티벌인 '투모로우랜드(Tomorrowland)'는 언리얼 엔진을 통해 DMX 온라인+오프라인의 실시간 조명과 영상 효과를 결합하였습니다. 즉 언리얼 엔진으로 구현된 가상의 공간과 현장의 공간이 하나게 되어 관객들을 황홀경으로 이끄는 혁신적인 무대를 구현하였습니다.  

      국내에서도 CJ ENM의 'ENM 스튜디오'가 다수의 광고, 드라마, 케이팝 공연에서 언리얼 엔진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특히 엠넷(Mnet)의 케이팝 서바이벌 프로그램 '킹덤(Kingdom)'의 화려한 무대 연출에서 뛰어난 기술력을 선보이며 업계에서 큰 주목을 받았습니다.

      3. '인터랙티브 아트'로서의 언리얼 엔진 사례

      언리얼 엔진은 인터랙티브 아트를 통한 관객 참여형 전시와 공연에서도 적극 활용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뉴욕의 Refik Anadol Studio는 관객의 움직임과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작품이 동적으로 변화하는 몰입형 예술작품을 제작해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일본의 아트 그룹 팀랩(teamLab)은 관람객이 직접 작품과 상호작용하는 환경을 언리얼 엔진 기반으로 구현하여 예술과 관객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국내에서도 전시와 공연이 결합된 다양한 형태의 인터랙티브 공연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케이팝 그룹 방탄소년단(BTS)의 온라인 콘서트는 팬들과 실시간 소통과 몰입형 경험을 제공하는 대표적인 사례가 되었습니다. 또한 언리얼 엔진과 조명 및 미디어의 융합 언리얼 엔진은 단순히 가상 배경 제작뿐만 아니라 실제 공연장 조명과의 실시간 연동도 가능합니다. DMX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가상 조명과 실제 조명 시스템을 연계해 가상과 현실 간의 경계를 자연스럽게 허물고 있습니다. 콜드플레이(Coldplay)의 'Music of the Spheres' 투어와 빌리 아일리시(Billie Eilish)의 공연에서 이와 같은 기술이 활용되어 공연의 몰입감을 극대화했습니다. 국내에서도 에스엠 엔터테인먼트(SM Entertainment)와 하이브(HYBE) 등 대형 기획사들이 언리얼 엔진을 기반으로 실시간 가상 무대 연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4. 유일하고 강력한 '실시간 환경 변화 ' 기능

      언리얼 엔진의 가장 강력한 기능 중 하나는 실시간으로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는 게임, 영화, 공연, 광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창작자의 의도를 즉각적으로 반영하고 높은 몰입감을 제공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언리얼 엔진이 제공하는 실시간 환경 변화 기술은 '리얼타임 라이팅(Real-time Lighting)', '다이내믹 웨더 시스템(Dynamic Weather System)', 'Niagara 비주얼 이펙트 시스템(Niagara Visual Effects System)', '리얼타임 백그라운드 체인지(Real-time Background Change)'와 같은 첨단 기술을 통해 구현됩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 덕분에 크리에이터들은 기존의 정적인 환경에서 벗어나, 관객과 사용자의 경험을 실시간으로 극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1) 실시간 라이팅과 다이내믹 웨더 시스템

      과거에는 사전에 제작된 조명 데이터와 환경을 기반으로 한 프리렌더링 방식이 일반적이었으나, 언리얼 엔진은 실시간 라이팅(Real-time Lighting) 기술을 통해 공간 내 광원의 변화를 즉각적으로 반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태양의 위치 변화에 따라 그림자의 각도가 변화하고, 실내에서 조명이 점멸할 때 공간의 분위기가 즉각적으로 변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특히, 글로벌 일루미네이션(Global Illumination)과 레이 트레이싱(Ray Tracing) 기술을 결합하면 보다 사실적인 조명 효과를 연출할 수 있습니다. 다이내믹 웨더 시스템(Dynamic Weather System)은 게임과 실시간 콘텐츠에서 현실적인 날씨 효과를 구현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바람의 방향과 세기에 따른 안개와 먼지 효과, 비와 눈이 내리는 정도, 구름의 움직임 등을 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포르자 호라이즌(Forza Horizon)'과 같은 레이싱 게임에서는 실시간으로 기후 조건이 변하면서 도로의 마찰력이 변화하고, 눈과 비가 타이어의 접지력에 영향을 미치는 등 현실적인 주행 환경이 구현됩니다.

      (2) Niagara 비주얼 이펙트 시스템의 혁신

      Niagara 비주얼 이펙트 시스템(Niagara Visual Effects System)은 언리얼 엔진의 실시간 VFX 시스템으로, 입자 기반 효과를 동적으로 생성하고 조정할 수 있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기존의 '카스케이드(Cascade)' 시스템보다 더 정교한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하며, 물리 기반 시뮬레이션을 적용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콘서트 무대에서 공연자의 움직임에 따라 불꽃이 터지는 효과를 실시간으로 연출하거나, 게임에서 플레이어가 마법을 사용할 때 생성되는 입자 효과를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또한, Niagara를 활용하면 대규모 군중 시뮬레이션, 폭발 효과, 연기, 물보라 등의 환경 효과도 즉각적으로 조정할 수 있어, 영화 및 라이브 퍼포먼스에서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환경을 제작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3) 리얼타임 백그라운드 체인지와 가상 프로덕션

      리얼타임 백그라운드 체인지(Real-time Background Change) 기술은 영화 및 광고 제작에서 특히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과거에는 그린스크린을 활용하여 후반 작업에서 배경을 합성하는 방식이 일반적이었지만, 언리얼 엔진을 사용하면 가상 환경을 실시간으로 변경할 수 있어 더욱 자연스러운 촬영이 가능합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프레임스토어(Framestore)는 언리얼 엔진을 활용하여 [코카콜라(Coca-Cola)]의 '리얼 매직(Real Magic)' 캠페인을 제작했습니다. 이 광고에서는 실시간으로 변하는 조명과 가상 환경을 활용하여 몰입감 있는 영상미를 완성했습니다. 또한, SM 엔터테인먼트는 EXO의 'Don't fight the feeling' 뮤직비디오에서 리얼타임 배경 전환과 특수 효과를 적용하여, 기존 뮤직비디오 제작 방식과는 차별화된 몰입형 영상을 선보였습니다.

      (4) 할리우드 영화에서의 실시간 환경 변화 적용 사례

      언리얼 엔진의 실시간 환경 변화 기술은 할리우드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MPC 스튜디오는 영화 <라이온 킹(Lion King)>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언리얼 엔진을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가상 환경을 실시간으로 조정하고, 촬영에 활용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애니메이션과 실사 촬영의 경계를 허물고, 현실과 같은 CG 배경을 빠르게 구현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디즈니 플러스의 히트 드라마 <만달로리안(The Mandalorian)>에서도 언리얼 엔진의 '가상 프로덕션(Virtual Production)' 기술이 사용되었습니다. LED 볼륨 스테이지(LED Volume Stage)에서 촬영되는 모든 배경은 언리얼 엔진을 통해 실시간으로 변화하며, 배우들은 실제 환경에서 연기하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이 방식은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뿐만 아니라, 창작자들에게 보다 유연한 연출 옵션을 제공합니다.

      5. 인공지능(AI)과 결합된 미래형 예술

      최근 언리얼 엔진은 AI 기술과의 융합으로 한층 발전된 예술 콘텐츠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메타휴먼(MetaHuman) 크리에이터를 통해 실제 사람과 거의 동일한 가상 인물을 실시간으로 제작하고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으며, Niagara 파티클 시스템과 결합된 AI 알고리즘은 실시간으로 관객의 반응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작품을 변화시키는 인터랙티브 아트를 가능케 합니다. 앞으로 이런 형태의 예술은 더욱 증가할 것이며, 아티스트와 기술자들의 긴밀한 협력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완전히 새로운 예술적 체험을 만들어 낼 것입니다. 인공지능(AI)과 결합된 미래형 예술 최근 언리얼 엔진은 AI 기술과 융합하여 더욱 정교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메타휴먼(MetaHuman) 크리에이터는 영화 산업에서 디지털 휴먼의 실사급 구현을 가능케 하며, 영화 <더 매트릭스: 리저렉션(The Matrix Resurrections)>과 같은 작품에서 실제 배우와 유사한 디지털 휴먼을 만들어 높은 몰입감을 제공했습니다. 또한, 메타버스 가수인 이매진 드래곤스의 가상 콘서트나 일본의 디지털 아티스트 하츠네 미쿠(Hatsune Miku)와 같은 가상 아티스트들의 성공 사례에서도 메타휴먼 기술의 잠재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AI 기반의 실시간 표정, 움직임 및 반응 분석을 통해 가상 캐릭터들이 실시간으로 관객과 소통하며 더욱 현실적인 상호작용을 가능케 합니다.

      6. 언리얼 엔진의 발전 기대

      언리얼 엔진은 단순한 게임 제작 도구의 한계를 넘어 예술과 기술을 창의적으로 연결하는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강력한 기술적 기반과 뛰어난 확장성을 바탕으로, XR 콘텐츠부터 실시간 인터랙티브 퍼포먼스, AI 기반의 메타휴먼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예술적 시도를 가능하게 합니다. 앞으로도 언리얼 엔진을 통해 창의적이고 몰입도 높은 예술 콘텐츠가 더욱 다양하게 등장할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관객과 작품 사이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형태의 경험을 제공할 것입니다. 아티스트와 기술자 간 협력은 계속될 것이며, 미래의 예술은 더욱 실험적이고 혁신적인 방향으로 발전해 나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