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flow 님의 블로그

문화와 예술이 숨 쉬는 공간. 당신의 하루에 작은 울림을 전하는 [문화 예술] 이야기로 초대합니다.

  • 2025. 3. 7.

    by. art-flow

    목차

      1. 기술과 예술의 융합

      공연 예술은 시대와 기술의 변화에 따라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습니다. 2025년을 맞이하며 공연 예술계에서는 기술과 예술의 융합이 가속화되고 있으며, 관객의 경험을 보다 몰입감 있게 변화시키는 시도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메타버스와 가상 공연의 확장, 인터랙티브 연극과 몰입형 공연의 증가, AI 및 VR 기술의 도입, 친환경 소재 활용과 지속 가능한 공연 예술 등이 향후 중요한 흐름을 형성할 것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공연 예술 트렌드'를 이끄는 주요 키워드를 분석하고, 그 변화를 심층적으로 안내해 드리고자 합니다.

      2. 메타버스 콘서트와 가상 공연 시장 확대

      코로나시기를 지나면서 메타버스는 공연 예술 분야의 혁신적인 변화를 이끌었습니다. 이를 시작으로  몇 년 동안 많은 실험과 도전들이 있었고 2024년을 지나면서는 LED로 구성된 XR스튜디오 기반의 가상과 융합의 공연 시장이 더욱 성장하였습니다. 전 세계를 연결을 해주는 기술예술은 '가상현실(VR), 증강 현실(AR), 혼합현실(MR), 확장현실(XR) '들의 형태들로 발전하면서 아티스트들이  물리적 공간의 제약을 넘어서 전 세계 관객들과 소통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개성 있는 창작활동들이 가능해졌습니다. 대표적인 초기 사례로는 2021년 미국의 트래비스 스콧(Travis Scott)과 팝 가수 아리아나 그란데 Ariana Grande)가 포트나이트(Fortnite)에서 진행한 메타버스 공연이 이에 해당됩니다. 아티스트들은 VR 헤드셋을 장착한 수백만 명의 세계 팬들과 가상공간에서 만났습니다. 이후  '방탄소년단(BTS)과 블랙핑크' 등의 대표적인 K-POP 아이돌 그룹들도 3D 아바타 기술과 모션 캡처를 활용한 실감 나는 퍼포먼스로 메타버스 콘서트를 열어 팬들에게 더욱 몰입감 있는 경험을 제공하여 글로벌 팬들과 소통하며 가상공간에서 함께 공연을 진행한 바 있습니다. 해외에서도 이런 메타버스 공연의 사례는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 새로운 교두보로 기대되는 것은 국내에서 개발한 메타버스 도시 * 칼리버스(Coldplay)입니다. 칼리버스는 롯데이노베이트에서 투자를(서울경제신문 24.10.30)해서 개발한 프로그램으로 133만 평 가상 도시세계를 표현한 미래 세계관을 가지고 있고 이곳에서의 콘서트를 개최할 계획을 발표하면서, 가상 공연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더욱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2025년에도 더욱 발전할 것으로 기대되며, 점점 더 많은 아티스트들이 가상 무대를 활용할 것입니다.    (* 칼리버스기사 출처 : https://www.sedaily.com/NewsView/2DFRQT98NJ )

      K-pop star 3D 아바타 (이미지 : Unreal Engine 기반 직접 제작 / 그래픽 편집 포함) * 본 이미지는 특정 브랜드 및 회사 또는 상업적 IP와 관련 없는 독창적인 창작물입니다.
      K-pop star 3D 아바타 (이미지 : Unreal Engine 기반 직접 제작 / 그래픽 편집 포함)

      * 본 이미지는 특정 브랜드 및 회사 또는 상업적 IP와 관련 없는 독창적인 창작물입니다.

      3. 인터랙티브 연극과 몰입형 공연 사례

      전통적인 무대 공연과 달리, 관객이 직접 공연에 개입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연극과 몰입형 공연이 점점 더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한 관람을 넘어 관객이 공연의 일부가 되어 경험을 극대화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영국에서 시작된 몰입형 연극 슬립 노 모어(Sleep No More)가 있습니다. 이 연극에서는 관객들이 극장 내를 자유롭게 이동하며 배우들과 직접 소통하고 이야기를 만들어가는 형식을 취합니다. 이러한 방식은 극적인 긴장감을 높이며, 관객에게 단순한 소비자가 아닌 공연의 일부가 되는 색다른 경험을 제공합니다. 또한, 2025년에는 AI 기술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연극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관객의 행동과 반응에 따라 스토리가 달라지는 연극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공연의 결말이 관객에 의해 결정되는 새로운 형태의 예술적 실험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024년 예정된 대표적인 인터랙티브 공연으로는 브로드웨이에서 선보일 예정인 Immersive Hamlet 이 있습니다. 이 공연은 셰익스피어의 햄릿을 기반으로 하지만, 관객의 선택에 따라 극의 전개가 달라지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AI 기반의 인터랙티브 요소를 활용하여 관객과 배우 간의 실시간 상호작용을 강화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몰입형 공연은 2025년에도 더욱 발전하여 새로운 형태의 공연 예술을 만들어 나갈 것입니다.

      4. AI와 VR을 활용한 공연 혁신

      AI(인공지능)와 VR(가상현실) 기술은 공연 예술의 형태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AI를 활용한 음악 및 공연 연출 기술이 발전하면서, AI 작곡가는 공연자 없이도 기존의 인간 음악가들이 창작했던 곡을 분석하여  AI가 직접 공연을 구성하고 새로운 스타일의 음악을 만들어내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2016년 2월 룩셈부르크에서 설립된 인공지능 작곡가 AIVA는, 같은 해 6월 세계적인 스타트업 경연대회인 '피치유어스타트업'에서 우승하였습니다. 이 대회는 유럽에서 개최되는 스타트업 경연대회로  AIVA는 이곳에서 우승하며 주목받기 시작했고, 2017년 6월 룩셈부르크 국경일 기념식에서 AIVA가 작곡한 'Letz make it Happen'이 연주되었으며, 같은 해 9월 프랑스 아비뇽 국립 오케스트라는 AIVA의 '교향적 판타지 a단조 op. 24, 나는 AI'를 연주했습니다. 또한, VR 기술을 활용하여 관객들이 가상의 공간에서 실시간으로 AIVA의 연주공연을 감상하는 것이 가능해졌습니다. 2025년에는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VR 기반의 가상 콘서트를 선보일 예정이며, 관객들은 집에서도 마치 공연장에 있는 듯한 생생한 경험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5. 친환경 공연 예술과 지속 가능성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공연 예술 분야에서도 친환경적인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2025년에는 친환경 소재를 활용한 작품 제작, 탄소 배출 감소, 제로 웨이스트 운동이 공연 예술계에서 중요한 흐름으로 자리 잡을 것입니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미국의 'The Climate Theatre Project'와 'The Climate Monologues'가 있습니다. 이 연극 공연들은 탄소 배출을 최소화한 이동형 공연을 선보이며, 관객들이 자연 속에서 공연을 관람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2024년 10월에는 프랑스 파리에서 '장소 특정 공연'으로 Festival Environnement et Innovation (FEI)이 개최될 예정으로 이 축제는 환경과 예술의 혁신적인 결합을 목표로 합니다. 지속 가능한 공연 기술과 친환경적인 공연 예술 작품을 소개하는 자리로, 공연 예술 분야에서의 환경 보호 움직임을 더욱 확산시키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

       이렇게 2025년의 공연 예술은 타문화 권의 국경과 환경, 그리고 기술을 넘어 적극적인 관객의 참여를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공연을 단순히 수동적으로 감상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인 결과에 영향을 주며 가상과 현실을 넘나들며 몰입형 공연을 경험하고, AI 기술과 함께 새로운 창작물을 감상하며,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예술을 소비하는 시대가 도래한 것입니다. 관객들은 이제 공연을 더 깊이 있게 경험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메타버스 공연에 참여하여 글로벌 아티스트와 실시간으로 소통하고, VR 기술을 활용해 집에서도 생생한 공연을 감상하며, AI와 협업하는 아티스트들의 창작물을 감상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친환경 공연을 선택하여 지속 가능한 예술 소비를 실천하고, NFT를 활용한 티켓 발행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공연에서는 새로운 후원 모델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공연 예술은 더욱 관객 중심으로 변화할 것이며, 각자의 취향과 관심사에 맞는 맞춤형 공연 경험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새로운 기술을 활용하고, 적극적으로 공연 예술에 참여하며, 환경을 고려한 예술 소비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우리는 더욱 다채로운 예술 경험을 누릴 수 있을 것입니다. 2025년, 여러분은 공연 예술의 새로운 시대를 맞이할 준비가 되셨나요?